
대한항공이 4월부터 마일리지 제도를 개편한다. 대한항공은 그동안 구역으로 나눴던 공제 기준을 거리에 따라 세분화하고, 마일리지 사용처를 확대해 소비자 편익을 높이겠다고 밝혔지만, 소비자들 사이에는 ‘개악’이라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 마일리지로 보너스 항공권을 구매할 때 좌석 등급이 높고 장거리일수록 더 많은 마일리지가 필요해서다.
대한항공은 현재 승객이 마일리지로 보너스 항공권을 구매하거나 좌석 등급을 올릴 때 국내선 1개와 동북아시아, 동남아, 서남아, 미주•구주•대양주 등 국제선 4개 지역으로 나눠 차등 공제한다. 그런데 앞으로는 공제 기준을 운항 거리에 따라 국내선 1개와 국제선 10개로 세분화한다.
예를 들어 개편 전 국제선 인천~뉴욕 항공권(편도 기준)을 구매할 때 필요한 마일리지는 이코노미석 3만 5000마일, 프레스티석 6만 2500마일, 일등석이 8만 마일이다. 개편 후 같은 항공권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이코노미석은 4만 5000마일, 프레스티지석 9만 마일, 일등석 13만 5000마일이 필요하다.
해당 구간 항공권을 이코노미석에서 프레스티지석으로 좌석 승급하기 위해 필요한 마일리지도 현재 4만 마일 공제에서 4월 이후 6만 2500마일 공제로 늘어난다.
반면 단거리 구간에는 필요한 마일리지가 줄어든다. 인천~후쿠오카 노선은 일반석의 경우 현재 1만 5000마일이 필요하지만 향후 1만 마일이면 보너스 항공권을 구매할 구 있다. 그동안 미주 지역으로 분류돼 3만 5000마일 공제했던 인천~하와이 항공권은 3만 2500마일만 쓰면 항공권을 살 수 있게 된다.
항공업계에서는 대한항공의 마일리지 개편으로 중•장거리 항공권 마일리지 공제가 늘어나 희택이 줄어드는 셈이지만, 이에 해당하는 이용객은 일부에 그친다고 해명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현행 마일리지 공제 기준으로 중•장거리 국제선 왕복 보너스 항공권을 구매할 수 있는 회원은 10명 중 한 명꼴”이라며 “2019년 보너스 항공권을 이용한 회원의 24%만 장거리노선을 이용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보통 마일리지를 한 땀 한 땀 모은 사람들은 중장거리 노선, 즉 뉴욕 가기가 대표적인 버킷리스트인데 이제는 어려워지지 않았나 싶다.
#마일리지개편#대한항공#장거리노선#단거리노선
#보너스항공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