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수로 돈을 잘못 보냈을때.. 얼마까지 반환가능한가?

by 왔다 우부인 2023. 3. 4.




큰돈은 아니라도 금액에 0을 하나 더 붙여서 잘못 송금한 적 있으신가요? 또는 계좌번호 등을 헷갈려 잘못 보내 경우도 있을 수 있는 거 같아요.

예금보험공사(예보)는 2021년 7월부터 착오송금반환지원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이를 통해 실수로 잘못 보낸 돈을 쉽게 돌려받는 길이 생긴 건데요. 제도 시행 전에는 착오 송금을 하면 송금자는 금융회사를 통해 계좌주에게 연락해 돌려달라고 요청해야 헀습니다.

만약  수취인이 돈을 돌려주지 않으면 소송에 나서야 햤는데 비용과 시간 부담이 만만치 않았다.

이젠 같은 상황이 닥쳐도 돈을 돌려받기가 쉬워졌다. 예보에 착오송금 반환 지원을 신청하면 예보가 수취인에게 돈을 돌려달라고 안내하고 이를 응하지 않으면 법원의 지급 명령 등을 텅해 회수한 뒤, 관련 비용을 제하고 돈을 덜려 준다.

실제  착오송금 반환에 소요되는 기간은 통상 접수일로부터 약 2개월 내외입니다. 착오송금 지원 제도를 이용하려면 우선 송금할 때 이용한 금융회사를 통해 수취인에게 착오 송금한 금전의 반환을 먼더 요청해야 한다. 여기서 반환이 거절된 경우 예보에 PC 홈페이지나 1층 상담센터 방문을 통해 반환 지원을 신청하면 된다.

올해부터는 착오송금 지원대상도 확대됐다. 지원대상이 기존 5만 원 이상~1000만 원 이하에서 5만 원 이상~ 5000만 원 이하로 늘어났다.

예금자 보호 한도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현행 예금 보호 한도는 2001 년 대통령령에 따라 2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상향된 이후 올해까지 23년째 동결돼 있다. 하지만 그간의 경제 성장과 물가 상승 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과 함께 보호 한도를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회에서는 예금자 보호 강화를 위해 예금 보험금의
한도를 현행 5000만 원에서 1억 원 이상으로 상향하는 법 개정이 추진 중이다.

해외 주요 국가의 예금 보호 한도와 비교해 봐도 우리나라의 한도는 낮은 수준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국가들은 예금자 보호 강화를 위해 번호 한도를 증액했는데, 미국은 25만 달러(약 3억 2000만 원), 영국은 8만 5000파운드(약 1억 3400만 원), 독일은 10만 유로(약 1억 3800만 원) 수준이다.

한국과 1인당 국내총생산(GDP) 지수가 비슷한 캐나다도 10만 캐나다달러(약 9600만 원)로 국내 예금 보호 한도와 비교해 2배에 가깝다. 일본도 1000만 엔(약 9700만 원)까지 예금 보호를 두고 있다.

선진국 수준에 맞게, 잘못 보내진 송금의 착오송금반환 지원금이 상향 조정되어 , 예금자의 권익이 보호되기를 바란다.

#예금보호공사#예보#착오송금반환제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