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노후준비.헬스.고령 헬스

칫솔 사용, 보관 설명서

by 왔다 우부인 2023. 3. 14.

날마다 사용하는 칫솔은 깨끗하다고 생각되지만, 잘못 보관하면 세균 덩어리가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보관하면 좋을지 살펴보자

1. 온수로 닦고 아래로 향하게 건조

양치를 한 뒤, 칫솔을 흐르는 물에 30초간 헹궈야 한다.
헹굴 때는 온수를 활용하고 칫솔모를 손가락으로 문질러 칫솔모 사이에 낀 치약 잔여물,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면 된다.

씻어낸 칫솔은 책상 등에 걸쳐 칫솔모가 아래쪽으로 가게 한 뒤 건조하는 게 좋다. 매번 칫솔을 완전히 건조하는 게 어렵다면 칫솔 2개를 번갈아 가며 쓰는 방법도 있다.

사무실에 칫솔을 2개 두고 잘 건조된 것을 골라 사용하면 된다. 단 이때는 칫솔모가 서로 닿지 않게 보관해야 교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2. 서랍이나 화장실에 보관하지 말 것

목동중앙치과병원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다부분이 책상서랍(29%), 화장실(29%)에 칫솔을 보관했다. 그런데 서랍 안, 화장실 등은 습기가 많아 세균이 증식하기 쉽다.

직장에서는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창가에 칫솔을 보관하는 게 가장 위생적이다. 이때, 칫솔은 개인 컵에 보관해야 한다. 여러 사람의 칫솔을 한 통에 보관하면 세균이 옮겨갈 위험이 있다.

3. 주 1회는 소독

1주일에 한 번은 칫솔을 소독하는 게 좋다. 소금이나 베이킹소다를 반 스푼 푼 물에 녹인 뒤, 칫솔을 10~20분 정도 담가놓으면 된다.

구강 청결제에 담가도 소독효과를 낼 수 있다. 이때, 칫솔을 담아두는 칫솔케이스, 칫솔 캡 등도 함께 소독해야 한다. 내부에 물이 고이기 쉬워 세균이 번식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또 한 가지 방법은 전자레인지를 활용할 수 있다. 칫솔을 24시간 건조한 뒤 1분간 전자레인지에 돌렸더니 평균 98%의 살균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게재되기도 했는데, 마이크로파가 구성 분자를 상호 충돌시켜 발생한 마찰열로 세균을 죽이는 원리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칫솔을 돌려가며 사용하면 편리하다. A 칫솔을 사용하는 날에는 B칫솔을 건조. 살균하고, 다음 날에는 B칫솔을 사용하는 대신 A번 칫솔을 관리하는 식이다.

4. 3개월에 한 번은 교체

칫솔은 망가지지 않더라도 3개월에 한 번은 교체해야 한다. 대한치주과학회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3개월간 사용한 칫솔은 새 칫솔보다 치태제거 능력이 떨어진다.

단 3개월이 지나지 않더라도 칫솔모가 휘거나, 칫솔모가 많이 퍼진 경우 거나, 양치 후 잇몸이 아픈 경우에는 칫솔을 바로 교체하는 게 좋다.

칫솔모가 마모되면 치아가 잘 닦이지 않아 잇몸질환, 충치 등이 생길 수 있고 잇몸에 상처가 나기 쉽다.

이와 같이 소개된 방법을 참고로 하여 각자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해 구강관관리 하시기 바란다.

# 칫솔 # 칫솔모 # 치주질환 # 칫솔소독 # 소금
# 베이킹소다 # 치태제거 # 칫솔마모 # 양치
# 잇몸질환 # 충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