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결혼축하 1000만원’으로 인구 증가

전북 김제시는 2000년 11만 580명이었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8년에는 10만 명 이하로 떨어졌고 2016년 이후에는 9만 명 이하로 인구가 급속하게 줄었다.
급격한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 그리고 청년층이 일자리를 찾아 이탈했기 때문이다.
김제는 전북 중서부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북권 주요 도시인 전주-익간-군산, 혁신도시와 연접한 사통팔달 교통망을 형성하고 있어 인구 유출과 유입에 있어 유•불리가 상존하고 있는 지역이다.
김제는 지방소멸이라는 위기 속에서 최근 4년간(2018년~2021년) 매년 평균 1500여 명씩 인구가 급감하는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인구가 증가하면서 지방소멸 시대릉 역주행하고 있다.
올 1월 말 기준 인구수는 8만 1662명으로 지난해 1월 말 대비 749명이 증가했다.
행정안전부로부터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89개 시•군중 전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곳은 김제시를 비롯해 군위군과 울릉군 등 단 11곳에 불과하다.
김제는 출생아(395명) 보다 사망자(1313명)가 많은 자연감소(918명) 현상이 발생했음에도 민선 8기 들어 청년층과 장년층의 인구 유입으로 지난해 하반기 들어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실제 지난해 하반기 동안 지역 미래 발전의 중차대한 역할을 하는 청년층(만 18~39세) 인구가 1만 4214명에서 1만 4493명으로 279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인구증가 추세는 지난해 전북의 주요 시 단위 지역의 인구수가 1400~1500명 정도 줄어든 것에 비해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다.
인구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맞춤형 인구 유입 정책이 서서히 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그동안 인구감소 제로화를 목표로 결혼부터 출생-양육-교육, 그리고 일자리-청년정착-주거지원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김제형 생애주기별 인구정책’을 촘촘하게 세분화해 인구회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 2019년 8월 인구 유입 유도와 유출 방지를 위해 전입장려금(1인당 20만 원), 이사비(가구당 30만 원), 국적취득자 정착지원금(100만 원), 유공기관 전입지원금(50만~100만 원), 취업청년 정착수당(최대 1800만 원) 등을 담은 인구정책 지원조례를 제정했다.
취업•청년을 위한 군장병 상해보험 가입(3만 원~3000만 원)과 대학생 생활안정비(학기당 30만 원) 지원, 내 고장 학교 보내기 격려금(1인당 100만 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청년 정착을 위해 결혼축하금(1000만 원) 지원, 출산장려금(첫째아 800만 원~다섯째 이상 1800만 원), 다자녀 양육수당(셋째아 이상 아동 월 10만 원)등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오기에 시내권 신축아파트 공급을 통한 쾌적한 정주여건 마련 등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촘촘한 생애 단계별 지원도 하고 있다.
지난 10여 년 동안 타 지역과 차별화된 산업단지를 조성해 온 것도 인구 유입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김숙영 김제시 인구정책팀장은 “청년들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와 주거여건향상, 출산 양육지원이라는 삼박자를 고루 갖추어 나갈 때 소멸위기 지역에서 활력 넘치는 지역으로 변화할 수 있다”며 “앞으로 국가정책을 효과적으로 연계해 일자리창출, 청년인구 유입, 생활인구 확대 등 시너지가 창출될 구 있도록 맞춤형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제시#결혼축하금 1000만 원#출선장려금#인구유입
#산업단지#인구소멸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