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저비용항공, 누워서 편하게 갈 수 있다?

왔다 우부인 2023. 1. 27. 11:57

저비용항공사 이코노미 좌석에 누워갈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일단 일반석도 미리 좌석을 지정하는 게 좋다. 항공사 대부분이 항공권 구매 시점부터 사전 좌석 지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출발 48시간  전까지, 제주항공. 진에어 등 저비용항공은 24시간 전까지 가능하다. 요즘은 선호 좌석을 미리 ‘찜’하는 사람이 많다. 제주항공 홍보팀 김태영 차장은 “항공권을 일찍 사면 저렴한 것처럼 좌석 지정도 서두르길 권한다. 이에 구매와 동시에 하는 게 낫다”며 출발이 임박하면  편한 자리가 남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고 말했다

아무 자리 나 선택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요즘 항공사는 같은 일반석도 차등화해 추가 요금을 받는다.
아시아나의 경우는 일반석보다 좌석 앞뒤 간격이 4인치 넓은 ‘이코노미 스마티움’, 비상구석으로 불리는 ‘레그룸 좌석’, 의자 2개씩 붙어있는 ‘듀오 좌석’, 앞쪽에 위치해 승하차가 빠른 ‘프런트 좌석’을 운영한다.
미주, 유럽 샅은 장거리 노선 스마티움 좌석은 편도 20만 원을 받는다.

저비용항공은 더 세분화한다. 진 에어는 6 새 종류의 좌석을 운영한다. 좌석 간격이 동일한 ‘스탠더드 좌석’도 앞쪽이냐 뒤쪽이냐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심지어 맨 뒷자리도 미리 지정하려면 별도 요금을 내야 하는데, 동남아 노선 기준 편도 7000원이다

또 다른 방법은 옆자리를 비우고 가는 법이다

좌석 앞뒤 간격도 중요하지만, 옆에 누가 앉느냐도 중요하다. 자주 들락거리는 사람이나 내내 우는 아기가 곁에 탄다면 피곤할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요긴한 방법이 있는데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같은 지비용항공이 ‘옆좌석 구매’ 서비스를 운용한다. 출발 당일 안 팔린 좌석에 한해 저렴하게 파는 일종의 ‘떨이’ 좌석이다. 국내선은 편도 1만 원, 국제선은 2만~5만 원이다. 한 명이 최대 두 좌석까지 살 수 있다. 그러니까 세 자리를 독차지해 누워서 갈 수도 있다는 말이다. 실제로는 괌. 사이판 노선 같은 밤 비행기이서 가족, 커플 여행객이 많이 이용한단다

비상구 좌석이든 옆좌석 구매 서비스든 추가 비용이 든다. 저렴한 할인 항공권을 샀다면 배보다 배꼽이 더 있을 수 있다. 돈을 들이지 않고 조금이라도 편한 자리를 고르는 방법이 없을까? 이럴 땐 전 세계 모든 비행기 좌석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트구루(seatguru)’사이트가 유용하다. 좌석 간격과 등받이 기울기, 전원 플러그 보유 여부근 항공사에서도 알려주지 않는 깨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무쪼록 저비용으로 조금이라도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정보가 되기를 바란다

#비행기 좌석 꿀팁 # 이코노미 증후군 #시트구루 #저가 항공 #이코노미 스마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