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이후 처음 맞는 여름휴가
엔데믹 이후 처음 맞는 여름휴가를 계획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 , 그들에겐 올여름 장마가 언제 오는지, 태풍은 얼마나 오는지 등 많이 궁금해하고 있다. 그래서 여름 날씨와 관련된 전망이 여럿 나와 있기에 살펴본다
전 세계인이 사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제공한 월간 날씨에 따르면 한국인이 휴가를 많이 쓰는 7~8월 날씨가 대부분 비가 오거나 흐린 날씨로 관측하고 있다. 국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경우는 어두운 전망이다
기상청이 지난달 23일 발표한 3개월 날씨 전망은 6~8월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각각 40%이고 평년보다 낮을 확률이 20%라고 밝혔다.
6~8월 평년기온은 21.1~21.7도, 24.0~25.2도, 24.6~25.6도다. 호주와 캐나다 등 각국 기상청과 관계기관은 한국의 6~8월 기온은 56~64% 확률로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강수량은 6월의 경우 평년(101.6~174.0mm)과 비슷할 확률이 50%다. 평년보다 많을 확률은 30%, 적을 확률은 20%다. 7월은 평년(245.9~308.2mm)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40%다. 8월은 평년(225.3~346.7mm)과 비슷할 확률이 50%, 많을 확률이 30%, 낮을 확률이 20%다.
엘니뇨 영향
세계기상기구에 따르면 5~7월 엘니뇨가 발달할 가능성이 60%인데, 이때 한국에서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오는 경향이 있다. 엘니뇨는 감시구역 해수면 온도가 3개월 이동평균으로 평년보다 0.5도 이상 높은 상황이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기상청 관계자는 “강한 엘니뇨가 될지 현재로선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과거사례로 봤을 때 7~8월 중순쯤 남부지방에 강수가 많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폭염 일 수는 평년 수준인 10.7일과 비슷해 지독한 폭염은 없을 것으로 본다”라고 덧붙였다.
중국과 일본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장마가 시작되는 등 이미 여름철 우기로 접어든 상태다. 일본은 지난달 말부터 규슈 등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바이우(Baiu)가 시작됐다고 선언했고, 중국 역시 남부 지역에 메이유(Meiyu)로 인한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중국과 일본은 장마를 각각 메이유, 바이우라고 부르는데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이 5~6월에 열릴 때 내리는 비를 뜻한다. 한국의 경우 보통 제주는 19일, 남부는 23일, 중부는 25일에 장마가 시작된다.
APEC 기후센터는 ‘동아시아 계절예측 기후전망’에서 “올여름 한반도와 중국 서부 및 북동부, 일본 북부 일부 지역 강수가 평년보다 많을 경향이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호주 캐나다 등 전 세계 기상청이 제공한 10개 기후예측모델에서도 6월은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겠지만, 7~8월은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예측됐다.
정리해 보면
여러 전망을 통해 정리해 보면 엘니뇨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7~8월은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지독한 폭염은 없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올여름 장마는 제주는 19일, 남부는 23일, 중부는 25일에 시작될 전망이다.
#엘니뇨 #장마 #폭염 #APEC #기상청 #바이우
#메이유 #엔데믹
'우리의 일상 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은 나무, 다른 열매 (34) | 2023.06.09 |
---|---|
초여름 화단에 핀 꽃 (48) | 2023.06.03 |
신구대학교 식물원 (54) | 2023.05.18 |
아름다운 선물 (43) | 2023.05.09 |
백운호수 선일목장 정육식당 (59)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