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3시 50분, 새벽어둠을 뚫고 첫 차가 출발했다.
서울 노원구 상계동을 출발해 강남구 신논현역까지 가는 8146번 버스엔 서로 인사를 나누는 장년 여성들로 활기가 돌았다. 버스에 올라탄 사람들이 교통카드를 댈 때마다 ‘삐빅’ 소리와 함께 조조할인 요금 960원이 빠져나갔다.
수락산역, 도봉구청, 중계역…, 이내 발 디딜 틈 없이 버스 안이 가득 찼다. 먹골역부터는 앞문과 뒷문으로 승객이 밀려 들어왔다. 8년간 이 노선을 운행했다는 버스 기사 윤종수(68)씨는 “강남 일대에서 청소 일을 하는 중년 여성이 대부분이고, 건설 현장 나가는 분들이나 경비원들도 많다”라고 했다.
이 버스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새해 첫 출근 날 ‘새벽 만원 버스’에 탑승한 것을 계기로 신설됐다. 당시 146번 버스에 탔던 새벽 노동자들이 “4시 5분인 첫차 출발 시간을 15분만 앞당겨 달라”라고 요청했고, 보름 만에 3시 50분발 8146번 버스가 등장했다.
국무총리가 이들의 요청에 귀 기울이고, 즉시 해결한 일은 정말로 일하는 공무원의 모습을 보여준 것 같고, 이런 모습이 민생을 돌보는 모습이라 생각한다.
“내 힘으로 밥 벌어먹는 게 복”
지난 6일 이옥자(79)씨가 수락산역에서 8146번 버스에 올랐다. 행선지는 강남구 삼성역 무역센터, 청소 일을 시작한 지 30년이 됐다고 했다.
남편은 큰딸이 초등학교 6학년 되던 해 세상을 떠났다. “경남 합천에서 농사짓고 구멍가게 하며 삼 남매를 키우다 막둥이가 대학 진학할 때 서울 올라와서 청소 일을 시작했어요” 60대에 170만 원 받았던 월급이 70대 들어 130만 원으로 줄었지만, 그는 “이 일이 너무 좋다”라고 했다. “열심히 일하면 결과가 바로 보이니까. 이 나이에 움직여서 밥 벌어먹고사는 게 얼마나 복입니까.”
이 씨는 첫차 시간이 앞당겨져서 금쪽같은 15분을 벌었다며 “화장실 하나를 더 청소할 수 있는 귀한 시간”이라고 했다.
출발한 지 1시간 10분쯤 지났을까. 버스가 영동대교 북단에 접어들었다. 버스에서 내린 이들은 1분 1초가 아까운 듯 새벽 거리를 질주하기 시작했다. 봉은사, 무역센터, 삼성역, 선릉을 거쳐 강남을 벗어나자 썰물이 빠져나간 듯 사람들이 자취를 감췄다. 새벽 5시 15분이었다.
8146번 버스부터 지하철까지, 새벽 첫차에서 만나는 이들은 대부분 60대 이상이었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OECD 평균 3배에 해당하는 43.4%.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 교수는 “지금 노인 세대의 경우, 연금제도도 미비했던 데다가 본인의 노후 준비보다는 자녀 교육에 모든 것을 투자했기 때문에
빈곤율이 높게 나타난다”며 “대학 진학률도 늪지 않았던 세대라 결국 몸을 쓰는 일용직 일자리로 유입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이옥자 씨처럼 자녀를 다 키우고 쉬어도 되지만 “내 힘으로 밥 벌어먹는 게 복”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사는 어르신이 많다는 것이다.
이들의 성실과 인내와 수고가 지금의 대한민국이 되는 근간을 이루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전쟁까지 겪은 이 나라가 세계 최고의 빈곤 국가에서 열심히 살아내신 이들 세대가 있었기에 지금이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새벽첫차#8146 버스
'우리의 일상 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의 변신, 북한산 전망을 한 눈에.. (0) | 2023.03.13 |
---|---|
겨울 동안 따뜻하게 해준 패딩이여 안녕! (2) | 2023.03.11 |
산란지 이동하는 두꺼비들의 ‘로드킬’막아주세요.. (0) | 2023.03.10 |
동해시 무릉별유천지로 수학여행 오세요.. 이용료 50%할인 (0) | 2023.03.10 |
아름다운 청년들, BTS.. 생일마다 1억원씩 기부하는 ‘슈가’ (0) | 2023.03.09 |
댓글